우리나라의 인공위성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위성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위성은 아리랑위성이 있습니다. 1호부터 7호까지 개발되고 발사되었습니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첫 다목적위성의 시작은 아리랑 1호에서 시작했습니다. 1999년 12월 21일 국내 최초의 다목적실용위성의 1호 발사 이후 8년 동안이나 임무를 수행였습니다. 지구관측을 주된 임무로 삼은 아리랑1호는 우리나라 위성 기술을 자립화의 초석을 담당했다고합니다. 아리랑1호는 지구를 4만3천회 정도 선회하였으며 대략 47만장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의 사진을 우리에게 전송하여 주었습니다. 그 이후 발사된 아리랑 2호기는 해상도 1m급의 전자광학카메라를 탑재한 엄청난 품질의 위성이였습니다. 9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연구용으로 사용되고있는 아리랑 2호기는 국내사진 7만5400장 해외사진 약 245만장의 사진자료와 영상을 확보하였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위성영상 자산을 확대하는 가장 혁신적인 공헌이며 가치로 환산할 경우 5,000억에 달하는 가치를 창출해 낸 아주 기특한 위성입니다. 아리랑 3호기는 2호기보다 좀 더 발전한 70cm급 전자광학카메라가 탑재된 관측형위성입니다. 가장 자랑 할 만한 부분은 본체와 부품들이 모두 국내 개발 및 조립 설계 시험이 진행 되었다는 점입니다. 아리랑 2호의 발전형태인 3호기는 해상도의 큰 변화가 자랑거리입니다. 1m이하의 관측능력은 세계수준의 광학탑재체 개발능력의 확보나 다름없던 역사적인 기념물입니다. 2012년에 발사되어 아직도 현역으로 활동 중이며 매일 약 15바퀴의 지구를 돌면서 지구를 관측하고 있습니다. 아리랑 5호는 굉장히 혁신적인 위성입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발된 영상레이더가 탑재된 관측형위성입니다. 마이크로파를 지상에 방사한뒤 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하고 합성하여 영상을 만드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방법덕분에 주간과 야간 그리고 구름이 많은 악천후에도 전혀 간섭을 받지않고 지상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아리랑3호와 3A호의 광학영상과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의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아리랑3호와 3A호는 야간이나 기상여건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제대로 된 촬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럴때는 아리랑 5호가 나서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사용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하루에 네번정도 우리나라를 관측하며 이렇게 수집되고 분석된 자료들은 재난이나 재해를 예측하는곳 그리고 국토관리와 자원관리 환경감시등 여러분야에 다방면으로 사용이됩니다. 다음으로는 아리랑 3A호입니다. 3호기의 더 발전한 형태의 영상관측위성입니다. 세계최초로 중적외선을 탑재한 위성입니다. 광학영상도 미국에이어 두번째로 50CM이하 영상을 촬영이 가능한 위성입니다. 최대 38cm급의 영상촬영이 가능하고 이는 3호기의 2배이상의 능력을 보여주는 수치입니다. 적외선 센서도 탑재하여 언제든 한반도 촬영이 가능하고 이를 토대로 화재나 화산활동, 도시 열섬현상등을 관측가능하다고 합니다. 현재는 아리랑6호 (2020년 발사예정), 아리랑 7호(2021년 발사예정) 등의 위성들이 개발되고있습니다. 아리랑 6호는 아리랑5호기의 후속위성으로 국내독자개발과 영상레이더 탑재체의 국내개발방식으로 진행중입니다. 아리랑 7호기는 3A호의 후속위성으로 고해상도 관측영상을 목적으로 두고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아리랑 7호기에는 항우연이 보유한 기술력을 이용하여 세게 최고의 광학카메라를 탑재할 예정입니다. 이는 30cm이하의 해상도를 가질 예정이며 세계 최고수준이라고 자부할 수 있다고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위성산업은 점점 가속화되고 세계 최고의 자리도 넘보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물론 위성에관해 부정적 의견도 많습니다. 30cm이하 급의 카메라가 개발이되면 민간인들의 일상생활이 감시되는 것이 아니냐 등의 문제점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산림자원, 화재, 재난재해 등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비하기 위해서 위성개발은 필수적이므로 개발이 진행되고있습니다. 지금의 위성이 중요한 이유는 이 결과물과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더 나은 위성을 만들어 낼 수 있기때문입니다.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가능한 많은 정보를 얻으려는 이유도 바로 이것입니다.
더 좋은 위성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반이 되어주는 아리랑위성.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위성입니다.
'우주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의 주요 사고사례 (0) | 2017.10.03 |
---|---|
화성탐사선 (0) | 2017.10.02 |
위성영상의 활용방법 (0) | 2017.09.30 |
항공우주 기술의 활용 (0) | 2017.09.30 |
기상탑재체의 역활과 발전 (0) | 2017.09.30 |